아는 만큼 보이는 세상

카카오는 오르는데 네이버는 내려가는 이유 본문

주식

카카오는 오르는데 네이버는 내려가는 이유

처음이닷 2025. 8. 22. 09:30
728x90
반응형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는 플랫폼.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카카오와 네이버.

오늘은 두 기업의 주가 추이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올해 들어 카카오와 네이버의 주가가 엄청나게 들썩였습니다.

두 기업의 주식의 차트를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네이버 증권

 

두 기업 모두 6월에 고점을 기록한 이후 주춤하더니 서로 다른 방향을 걷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박스권을 그리다가 다시 올라오고 있고(최근 한 달 기준 약 12.48% 상승)

네이버는 조금씩 계속해서 내려오고 있습니다.(최근 한 달 기준 약 7.08% 하락)


도대체 왜 그럴까?


😙카카오

  • 메신저 중심 생태계: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 전개
  • 콘텐츠 사업: 카카오엔터테인먼트(웹툰, 웹소설, 드라마 제작), 멜론(음원 플랫폼)
  • 모빌리티: 카카오 T(택시 호출, 대리운전, 주차 등)
  • 핀테크/금융: 카카오페이(간편결제, 송금, 보험, 증권), 카카오뱅크(인터넷 전문은행)
  • 커머스: 선물하기, 톡스토어, 라이브커머스

👉 핵심은 카카오톡 기반으로 생활 밀착형 서비스와 콘텐츠를 묶어내는 것.

 

먼저, 카카오는 기존 플랫폼의 스타일을 인스타그램 수준으로 개편하다고 합니다.

여기에 챗 GPT기능도 도입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개편이 성공적으로 이뤄진다면 카카오톡 이용량이 약 20% 증가할 거라 예측한다고 합니다.

 

최근 카카오의 사업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카카오톡 기반 ‘슈퍼앱’ 전략

  • 카카오는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사용자 체류 시간을 늘리기 위해 ‘Discover’ 탭을 2025년 하반기에 도입할 계획입니다 
  • 또한, 카카오톡 전면 개편을 준비 중이며, AI 기반 서비스들을 연계해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려고 합니다.

2. AI 기반 신서비스 확대

  • OpenAI와의 전략 제휴를 통해 챗GPT 기술을 카카오톡 및 카나나(Kanana) 서비스에 적용, ‘초개인화 AI 동반자’ 서비스 ‘Kanana’를 베타 테스트 중입니다.
  • 이외에도 AI Mate Shopping, AI Mate Local, 생성형 AI 검색 등 다양한 AI 기능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3. 재무 성과 및 조직 재편

  • 2025년 1분기: 매출 1조 8,637억 원, 영업이익 1,054억 원(영업이익률 5.7%)
  • 2025년 2분기: 분기 기준 사상 최고 매출 기록. 조직 내 AI 관련 구조 조정 및 내부 비용 최적화를 강화하며, Talk Biz 성장과 AI 혁신에 자원 집중 중입니다.
  • 또한, Talk Biz 광고 및 커머스는 30% 이상 영업이익률을 달성, 핵심 수익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4. 대내외 도전 요소

  • 내부적으로는 노동조합의 첫 파업이 일어나는 등 내부 갈등도 존재합니다.
  • 또한, 일부 매체는 AI 경쟁에서의 부진과 수익 둔화를 언급하며, “회복 경로가 불투명하다”고도 평가했습니다.

 

😅네이버

  • 검색/포털: 한국 최대 검색 포털, 뉴스·지식iN·블로그·카페 등
  • 커머스: 스마트스토어, 네이버페이, 쇼핑라이브(라이브커머스)
  • 핀테크/금융: 네이버페이(결제/송금), 네이버파이낸셜
  • 콘텐츠: 네이버웹툰, 웹소설, V LIVE(엔터테인먼트), 제페토(메타버스)
  • 클라우드/AI: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클로바X(초거대 AI)

👉 핵심은 검색·커머스·AI 기반의 기술 플랫폼 확장.

 

이에 반해, 네이버는 쇼핑 수수료 인상 이외에 뚜렷한 실적 모멘텀이 없다고 합니다.

핵심 사업이 안정적이긴 하지만 혁시전인 AI 서비스 없이는 상승하기 어렵게 보입니다.

최근 네이버의 사업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1. ‘On-Service AI’ 전략 구현

  • 네이버는 ‘On-Service AI’ 전략, 즉 검색, 쇼핑, 로컬, 금융 등 모든 서비스에 AI를 통합해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습니다.
  • 연내에 AI 탭 도입과 커머스 전용 AI 상담사(쇼핑 어드바이저) 서비스 출시 계획이 있으며, 내년에는 통합형 AI 에이전트 출시 예정입니다.

2. 데이터 기반 및 글로벌 확장 강화

  • 네이버는 방대한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모델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최근 스페인 Wallapop의 지분을 추가 인수하면서 유럽 C2C 시장 진출 기반을 강화하는 중입니다.
  • 특히, 이번 인수 동의는 약 3억 7,700만 유로(약 6조 원) 규모로, 서유럽 시장에서의 성장과 AI 서비스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있습니다.

3. AI 중심 재편과 수익 다변화

  • 2025년에 네이버는 AI 기반 플랫폼으로의 탈바꿈을 강조하면서, 기존의 검색·광고 중심 구조에서 광고, 커머스, 콘텐츠, 핀테크, 클라우드/AI 등으로 고르게 매출 구조를 확장 중입니다 (예: 광고 30%, 커머스 25%, 콘텐츠 15%, 핀테크 15%, AI·클라우드 10%).
  • 이러한 전략 아래, 회사는 연간 매출 10조 원을 처음으로 넘어섰습니다.

 

이렇게 해서 카카오와 네이버의 현재 상태를 체크해보았습니다.

과연 올 후반기 누가 웃을까요?

 

모두 잘 공부하시어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