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아는 만큼 보이는 세상
살아나는 배터리·2차전지株, 앞으로의 전망은? 본문
728x90
반응형
아주 오랫동안 침체되었던 배터리, 2차전지 관련주가 7월부터 살아나기 시작했습니다.
오늘은 배터리, 2차전지 관련주의 상승 원인과 추후 전망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일단 한 달 동안 주요 종목들의 상승률부터 알아봅시다.
상승률 (%)
엘엔에프 | ██████████████████████████████████ 30.05%
LG에너지솔루션 | ██████████████████████████ 21.35%
에코프로비엠 | ████████████████████████ 19.60%
LG화학 | █████████████████████ 15.95%
포스코퓨처엠 | ███████████████████ 13.89%
삼성SDI | ███████████████████ 17.90%
짧은 기간에 정말 많이 올랐습니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서 분석해보겠습니다.
🔍 상승세의 주요 배경 요인
- 미국의 통상규제 및 U.S. 생산 강화 흐름
- 중국산 배터리 및 첨단 소재에 대한 반덤핑 관세가 높아지면서, 국내 기업들은 미국 내 생산 및 공급체인 강화로 구조적 경쟁력 확보
- LGES는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 생산하는 LFP(저코발트) 배터리를 통해 테슬라와 4.3 조원 규모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이는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주요 계기입니다
- ESS 수요 확대 + AI 인프라 확장
- AI 학습 및 서버 수요 증가로 ESS 구축 역시 확대되면서, EV보다 공급 안정성과 단가 측면에서 ESS용 배터리 수요가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삼성SDI는 Stellantis와 합작해 미국 ESS 배터리 생산 시설을 건설 중이며, 내년 본격 생산 계획이 발표되었습니다
- 원자재 가격 상승 (리튬·그래파이트 등)
- 중국 내 리튬 생산 중단과 미국의 그래파이트 반덤핑 관세(93.5% → 내년 58% 예정)로 국내 소재 기업과 배터리 업체들이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 향후 전망 및 리스크 요인
<긍정적 전망>
- ESS 중심 성장 지속: EV 수요가 둔화되더라도, 데이터센터 및 재생에너지 연결 수요로 ESS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 전망
- 미국 내 생산 확대로 관세 영향 감소: 국내 주요 업체들이 미국 내 생산체제를 확립하면서 중국산에 대한 고율 관세의 우회가 가능해졌습니다.
<주요 리스크>
- 전기차 구매세액공제 종료: 미국 내 EV 세액공제가 9월 이후 종료 예정으로 EV 수요 자체가 둔화될 수 있으며, 이는 배터리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원자재 가격 변동성: 리튬·그래파이트 가격의 상승세는 완제품 마진에 압박이 될 수 있으며, 추세가 꺾이면 수익성도 약화될 수 있습니다.
- 이미 상당한 상승 반영: 일부 애널리스트는 주가에 이미 장기성장 기대가 상당수 반영되어 있으므로, 추가 상승 여력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현재 ETF주가도 계속해서 오름추세입니다.
오랜만에 찾아온 배터리와 2차전지주의 상승세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두 잘 분석하셔서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버블 쇼크.. 얼마나 떨어질까 (5) | 2025.08.21 |
---|---|
논란의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급락.. 앞으로의 전망은? (0) | 2025.08.20 |
8월에 코스피가 하락하는 이유 (7) | 2025.08.05 |
삼성전자 주주가 주목해야 할 바뀐 '배당소득 분리과세' 알아보기 (5) | 2025.08.01 |
최근 다우지수가 부진한 이유 (3) | 2025.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