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211

생명과학 : 외울게 왜 이렇게 많나요? 지구과학과 함께 많은 응시생들이 선택한 과목. 생명과학입니다. 이러한 이유 중에 하나는 암기할 내용이 주를 이룬다는 것이죠. 하지만, 외울 내용이 만만치는 않습니다. 도대체 왜 이렇게 암기할 내용이 많은지... 생명과학에 대해서 한 번 알아 볼까요? 생명과학은 생물학, 화학, 물리학 등 다양한 학문들을 종합하여 발전해온 분야입니다. 생명과학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이어져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생물학적 지식을 기록하기 시작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생명체를 연구한 첫 번째 학자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진정한 생명과학의 발전은 17세기 이후로 시작됐습니다. 그때부터 현대 생명과학에 이르는 여러 가지 중요한 발견과 개념들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17세기에는 마이크로스코프의 발명과.. 2023. 5. 12.
화학 : 눈에 안 보이는데 어떻게 설명을 합니까? 화학하면 뭐가 떠오르나요? 뭐 용액 같은 거 섞고 이리저리 흔들고 실험하고~ 연금술사...? 이런저런 이미지가 떠오릅니다ㅋㅋㅋㅋ 다방면으로 재미있을 것 같은 과목인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한 번 알아봅시다. 먼저, 화학의 역사입니다. 화학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왔습니다. 초기에는 불과 동물의 고기를 익히는 데에 쓰이던 불이, 나중에는 금속을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화로 등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화학의 학문적인 연구는 고대 그리스와 이슬람 문명 시대에 시작되었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세상을 이루고 있는 모든 것이 원자라는 것을 논의했습니다. 이들은 또한 원자들의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제시했습니다. 이후 이슬람 문명 시대에는 화학의 기초적인 개념들이 발전하였으며, 이후 유럽에서도 화학이.. 2023. 5. 12.
물리학 : 물리가 뭔데 우리를 이렇게 힘들게 하나요? 학생들이 가장 싫어하는 과학 과목... 바로 물리학입니다. 2022학년도 수능에서 과탐 응시율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지학1 : 29.9% 2. 생명과학1 : 29.5% 3. 화학1 : 16.1% 4. 물리1 : 13.7% 5. 지학2 : 7.8% 6. 생명2 : 1.4% 7. 화학2 : 0.7% 8. 물리2 : 0.7% 물리1,2 나란히 꼴찌를 기록하고 있을 정도로 비참합니다... 도대체 물리학이 뭐길래 이렇게나 힘든걸까요? 한 번 파헤쳐 봅시다! 먼저, 물리학의 역사입니다. 물리학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자연의 기본 원리와 구조를 연구하는 철학적인 관점에서 물리학을 연구했습니다. 그러나 현대적인 물리학 연구의 시작은 17세기에 일어.. 2023. 5. 11.
주식 관련 용어 정리1 주식 1000만 시대... 제 스스로가 주식을 제대로 알고 하는 것 같지 않아서 한 번쯤 정리해보고 싶었습니다. 용어를 한 번이라도 머리에 넣고 가보려고 했습니다. 1. 주식 (Stock): 기업이 발행한 지분증서로, 투자자는 주식을 구매함으로써 해당 기업의 소유자가 되어 기업의 이익과 손실에 따라 이득이나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2. 주가 (Stock Price): 주식의 가격을 말합니다. 주가는 매매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3.배당금 (Dividend): 기업이 주주들에게 주식 보유 대가로 지급하는 이자입니다. 배당금은 기업의 이익에 따라 지급됩니다. 4. 배당수익률 (Dividend Yield): 배당금을 주가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배당수익률이 높을수록 투자 수익이 높을 가능성이 있습니.. 2023. 5.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