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로운 이야기

도대체 계엄령이 뭔데? [계엄령 알아보기]

by 처음이닷 2024. 12. 4.
728x90
반응형

하루 밤새에 어마어마한 일들이 벌어졌네요..

오늘은 계엄령이 도대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bc 무한도전

 

계엄령(戒嚴令)은 국가 비상사태 시 군사력이 치안 및 행정을 통제하는 특별한 법적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주로 전쟁, 내란, 폭동, 자연재해, 대규모 사회적 혼란 등 국가의 안녕과 질서가 심각하게 위협받는 상황에서 선포됩니다. 계엄령이 발동되면 일반 법률에 따라 유지되던 시민의 자유와 권리가 제한되거나 정지되며, 통치 권력이 군대로 이관됩니다.


계엄령의 종류

  1. 비상계엄
    • 군사적 위기가 아닌 사회적 불안, 폭동, 대규모 재난 등으로 질서 유지가 어려운 경우 발동됩니다.
    • 군이 일부 치안 업무를 맡으며, 법원은 계속해서 민간사건을 다룹니다.
  2. 일반계엄
    • 전쟁, 내란 등 국가 존립이 위태로운 군사적 상황에서 발동됩니다.
    • 군사작전이 주요 임무가 되며, 민간 법원이 기능을 중단하고 군사법원이 주요 재판 권한을 가집니다.

계엄령 선포 과정

한국의 경우, 헌법과 관련 법률에 의해 계엄령 선포가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1. 대통령의 선포
    • 대통령은 계엄령을 선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2. 국회의 승인을 요함
    •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한 후, 국회에 이를 즉시 통보해야 하며, 국회는 이를 승인하거나 해제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3. 군사력 동원
    • 계엄사령부가 설치되고, 계엄사령관이 군사 및 치안 권력을 행사합니다.

계엄령의 주요 특징

  •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제한: 정부의 통제를 받으며, 정보 및 활동이 엄격히 관리됩니다.
  • 재판권 이전: 민간 사건이라도 군사법원에서 재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통행 및 활동 제한: 특정 지역에서 통행 금지 또는 이동 제한 조치가 내려질 수 있습니다.
  • 사회질서 유지: 군은 질서 회복을 위해 필요하면 강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1.  

 

대한민국의 계엄령

 헌법과 계엄법에 의해 규정된 비상사태 대응 수단으로, 주로 국가적 위기가 발생했을 때 대통령이 선포합니다. 대한민국 헌법 제77조 및 계엄법에서 그 시행과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계엄령은 일반적인 국가 운영 체계를 일시적으로 군사 체계로 전환하는 강력한 권한을 부여합니다.


헌법과 법적 근거

  1. 헌법 제77조
    • 대통령은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비상계엄 또는 일반계엄을 선포할 수 있습니다.
    • 계엄령 선포 후 국회에 즉시 통보해야 하며, 국회는 이를 승인 또는 해제할 수 있습니다.
  2. 계엄법
    • 계엄의 시행, 계엄 지역, 계엄사령부 설치 및 운영, 계엄의 종료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 계엄법에 따라 계엄이 선포되면 민간에서 이루어지던 행정과 사법 기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계엄령 선포 절차

  1. 대통령의 결정: 대통령이 계엄령 선포를 결정합니다.
  2. 국회 보고: 선포 후 즉시 국회에 보고하여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3. 계엄사령부 설치: 계엄사령관이 임명되며, 군대가 치안과 행정을 장악합니다.
  4. 계엄 해제: 비상사태가 해소되거나 국회가 해제를 요구하면 계엄이 종료됩니다.

계엄령 발동 시 영향

  1. 언론 및 출판 검열: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2. 군사 법원 재판: 민간 사건이 군사법원으로 이관될 수 있습니다.
  3. 치안 통제: 이동 및 통행 금지, 검문검색 등 강제 조치가 시행됩니다.
  4. 행정 및 사법권 제한: 군대가 주요 행정 권한을 장악하며, 민간 법원이 폐쇄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계엄령 역사

  1. 1948년 여수·순천 사건: 대한민국 최초로 계엄령이 선포되었습니다.
  2. 1961년 5·16 군사정변: 박정희 장군의 쿠데타 당시 계엄령이 발동되었습니다.
  3. 1972년 10월 유신: 박정희 정부는 유신헌법 제정 직전 계엄령을 선포하여 정치적 반대 세력을 억압했습니다.
  4. 1980년 5·17 계엄령 확대: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령이 전국으로 확대되었고, 이 과정에서 심각한 군사적 탄압이 이루어졌습니다.

계엄령의 남용 논란

계엄령은 국가 비상사태 시 필요한 제도이지만, 대한민국 역사에서는 정치적 도구로 사용되었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특히, 1980년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령을 이용한 군사 정권의 탄압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계엄령 종료

  • 헌법과 법률에 따라 비상사태가 해소되면 계엄령은 해제됩니다.
  • 국회가 요구할 경우 대통령은 즉시 계엄령을 해제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