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년 5개월만에 공매도가 돌아왔다고 합니다.
그와 동시에 코스피 지수 2500이 깨졌습니다... 도대체 공매도가 어떤 것이기에 이런 걸까요?
오늘은 공매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1. 공매도의 기본 개념
- 공매도란?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하는 행위입니다.
즉,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할 때 사용되는 전략입니다. - 어떻게 가능할까?
증권사나 기관 투자자 등으로부터 주식을 빌린 후 매도 →
나중에 시장에서 더 싸게 사서 되갚음(되사기: 쇼트 커버링)
→ 차익을 실현
🔹 2. 공매도의 과정 요약
- 주식 차입: 증권사 등에서 주식을 빌림
- 시장 매도: 빌린 주식을 현재 시장 가격에 팜
- 주가 하락: 주가가 예상대로 하락함
- 주식 재매입: 더 낮은 가격에 주식을 다시 삼
- 주식 반환: 빌린 주식을 되갚고 차익 획득
🔹 3. 예시로 이해해보기
- A 회사 주가: 10,000원
- 공매도 투자자: A 주식을 100주 빌려 매도 → 100만 원 확보
- 이후 A 주가가 7,000원으로 하락
- 100주 재매입에 70만 원 필요 → 30만 원 차익 발생
- 빌린 주식 100주 반환 → 공매도 종료
🔹 4. 공매도의 장단점
✅ 장점
- 주가 과열을 억제하여 시장 가격 안정화
- 하락장에서도 수익 기회 제공
- 기업의 건전성에 대한 경고 역할 가능 (회계 부정 등 견제)
❌ 단점
- 과도한 공매도는 주가 급락 유도
- 개인 투자자에게 불리 (정보·자금·접근성 열세)
- 공매도 세력에 의한 조작 논란 (예: 루머 유포)
🔹 5. 우리나라에서의 공매도 규제
- 공매도 전면 금지: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잠시 중단됨
- 부분 재개: 2021년부터 KOSPI200, KOSDAQ150 대형주에 한해 재개
- 현재(2024~2025): 불법 공매도 단속 강화와 함께, 개인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 논의 진행 중
그리고 언론의 정보에 따르면 대강 12개의 종목을 주의하라고 했습니다.
바로 공매도를 많이 사용할 주식들이죠.
그리고 오늘 이 종목들의 주가 변동을 살펴보겠습니다.
예상대로 엄청나게 하락중입니다.
반도체, 2차 전지부터해서 큰 기업들이 공매도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사실 오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체 적용의 영향도 포함되어 있어서
더욱 내려간 영향도 있겠습니다.
모든 투자에는 신중을 가해야할 것 같아요..
오늘 글이 도움되시기를 바라며..
모두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떨어지는 코스피, 쉽지 않은 단타 (0) | 2025.03.07 |
---|---|
3.5 단타 매매 일지 (0) | 2025.03.06 |
지속되는 하락장(3.4 단타 매매 일지) (0) | 2025.03.04 |
코스피 안 오르나 보다 (0) | 2025.02.27 |
코스피 주춤 끝.. 이제 다시 올라가나(feat.나스닥) (0) | 2025.02.26 |